Phantom Lady (1942년)

환상의 여인
윌리엄 아이리시
이은선 | 엘릭시르
이승원 | 창
최운권 | 해문

환상의 여자
양병탁 | 동서문화사

요상한 모자 쓴 여인 찾기

'환상의 여인 / 환상의 여자'는 추리소설을 처음 읽는 독자가 피해야할 작품 1순위다. 하지만 이 책이 세계 3대 추리소설 중에 하나로 올려져 있어 안 읽는 사람이 드물다. 내가 해 줄 수 있는 도움말은 하나다. 지나친 기대를 삼가라.

멋진 미스터리를 바라는 독자에겐 지루하고 허무하다. 요즘처럼 스마트폰에 감시카메라가 발달한 시대에 이 소설의 설정은 애초부터 성립이 안 된다. 옛날 얘기다. 1942년 발표작이다. 옛날이니까 그럴 수 있다.

자신의 알리바이를 입증해 줄 여자를 분명히 여러 사람들이 봤는데도, 모조리들 부인하고 나선다. 나 혼자만의 환상인가. 소설 초반부를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그렇게 생각하고 신비롭게 느껴진다. 그렇게 궁금하고 이상해서 끝까지 읽으면 반전이 놀랍다기보다는 허무해서 미쳐버린다.  

추리소설의 전형적인 긴장 구조를 만들어낸다. 살인 발생. 또 살인. 또 살인. 범인 정체가 밝혀짐. 자신의 살인을 감추기 위해 살인이 연이어 일어난다. 이 소설이 그런 구조에서 다소 특이한 점이라면, 그 환상의 여자를 목격한 사람들을 추적하여 추궁하는 과정에서 살인 혹은 사고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형사는 스콧을 체포해서 재판에서 사형까지 받아내지만 영 마음이 편치 않아서, 그의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사적으로 조사단을 꾸린다. 자, 누구에게 도움을 청할 것인가. 애인과 친구다. 가장 사랑하는 애인과 가장 신뢰하는 친구.

사형집행 일이 가까워 오는데, 결정적인 증언을 해 줄 사람이 사고나 살인으로 참으로 절묘한 순간에 죽고만다. 도대체 누가 왜 '환상의 여인'을 찾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것이며, 스콧의 아내를 죽인 살인범은 누구인가?

형사는 고생에 고생을 거듭해서 '환상의 여인'이 그날 썼던 요상한 모자를 추적한다. 그 모자는 복제품이었고 그 오리지널은 그날 공연자가 쓰고 있었다. 그 배우한테서 모자 제작자를 알아내고 모자 제작자한테서는 그 복제자를 알아내고 복제자한테서는 그 복제품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 사람을 알아낸다. 아직 안 끝났다. 바로 그 요청자가 그 모자를 줘 버린 여자를 알아낸다. 그 여자가 그 여자다. 플로라. 자, 이제 끝났나? 절대 아니지. 메롱메롱, 멍멍.

이야기를 여기까지 읽고나면, 애거서 크리스티의 추리소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처럼 독자는 황당한 상황에 처한다. 도대체 뭐가 어떻게 된 일인지 모른다. 사형 집행일 당일에서야 가까스로 '환상의 여인'을 잡았다. 달려, 달려. 스콧을 구하자!

추리소설에서 반전을 크게 만들려면 등잔 밑이 어둡다는 옛말을 충실하게 실행하면 된다. 독자의 코앞에 범인과 결정적 힌트를 두고 계속 아닌 척하다가 끝에서 터트린다. 너무 당연하게 여기는 사실을 뒤집으면 놀라움은 커지는 법이다. 절대로 범인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자가 범인이 되어야 한다.

이 소설도 연기의 신 트릭이 나온다. 고전 추리소설들은 이 트릭을 아무런 죄의식도 없이 쓴다. 애거서 크리스티가 애용하는 양식이고 다른 추리소설도 이야기에서 밥 먹듯 쓴다. 그렇게 분장과 연기를 완벽하게 할 수 있다고 아주 쉽게 생각하고 그렇게 독자를 설득할 수 있다고 당연시한다.

이 소설의 매력은 문체다. 도시의 우울한 정서를 독특하고 인상적인 문장으로 표현한다. 추리소설 독자보다는 개성적인 문장을 선호하는 문학 애호가를 위한 책이다. 문장 스타일 하나만큼은 끝내준다. 경이롭다. 천재다.

시작부터 시처럼 빛처럼 음악처럼 흐르고 펼치며 채색되는 문장이다. "밤은 젊고 그도 젊었다. 그러나 밤의 공기가 감미로운데도 그의 기분은 씁쓸했다."(양병탁 옮김) 영어 원문을 보면 더욱 그렇다.

"The night was young, and so was he. But the night was sweet, and he was sour." 운율 맞춘 문장.

이 멋진 문체로 쓴 소설이 왜 하필 범죄소설인가. 안타깝다.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이야기를 만들 줄 아는 재능이 탁월하지만 왜 이렇게 분위기가 어두운지. 아깝다. 어쩌겠는가. 그저 자신이 쓸 수 있는 것을 썼겠지. 간단하고 명료하게 쓴 문장으로 추리소설을 써도 되는데, 휘황찬란하게 눈부신 문체라니. 게다가 너무 장황하다. 문장이 쓸데없이 지나치게 끝내주게 좋다.

이 작가의 소설 스타일은 눈부시도록 매혹적인 도입부, 암담하고도 우울한 분위기, 흥미롭고 긴장감 높은 상황으로 요약할 수 있다.

◆ 1회독 2014.6.3 엘릭시르 종이책
◆ 2회독 2015.7.8 동서문화사 전자책

국내 번역 대조 비교 분석

The night was young, and so was he.

밤이 젊다니 무슨 말인가? 
직역해도 대충 의미는 알 수 있어서 
의역을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The nigh is young. 초저녁이다.
The nigh is still young. 아직 초저녁이야.

관용 표현이다. 시적인 표현을 위해 
일부러 작가가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이 표현은 대체로 계속 술 마시러 가자고 할 때 쓴다.
소설에서 주인공 남자가 술 마시러 술집에 들어간다.

내가 의역해 보면 이렇다.
초저녁이었고 그는 젊었다.

운율을 맞춰 쓴 뒤의 문장 때문에 대개들 직역했다. 
초저녁이라고 번역한 곳은 딱 한 군데였다.

5월의 초저녁에 
풍기는 상큼한 공기가 
풋풋한 그의 젊음과 
잘 어울리는 밤이었다. 
- 창 이승원 

이승원은 철저한 의역을 추구했다. 
원문 문장 구조를 무시하고 
뜻을 온전히 전달하는 데 치중했다.

그 외 사람들은 번역체 직역투다.
밤은 젊고 그 역시 젊었다. - 엘릭시르 이은선
밤은 젊고 그도 젊었다. - 해문 최운권
밤은 젊고 그도 젊었다. - 동서문화사 양병탁

2024.9.15

환상의 여인
윌리엄 아이리시 지음
이은선 옮김
듀나 해설
엘릭시르 펴냄 
2012년 8월 1판 2쇄 발행
ISBN : 9788954618526

핵심 미스터리는 이렇다. 주인공 남자가 자신의 아내를 죽이지 않았다는, 알리바이를 증명할 수 있는 여자가 있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모두들 그 여자를 못 봤다고 한다. 유령을 본 것인가. 그럴 리가 없다. 여자가 쓴 모자가 워낙 특이해서 못 알아 볼 수가 없다. 게다가 모자는 호박색이라서 눈에 띨 수밖에 없다. "까만색의 기다란 깃털이 달린 밝은 오렌지색 모자." 207쪽.

이후 전개는 이 요상한 모자를 썼던 여자를 찾는 과정이다. 주인공의 무죄를 감지한 형사, 믿을 수 있는 친구, 사랑하는 애인 등 3명이 사형 선고 받은 스콧 헨더슨을 위해 수사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술술 읽히는 편은 아니다. 완독하는 데 사흘 걸렸다. 요즘처럼 빠른 전개와 즐거움을 바라는 이들한테는 장황한 이야기일 것이다. 게다가 옛날 소설이다. 스마트폰과 CCTV가 없던 시절이다. 지루하게 느낄 수 있겠다. 그럼에도 인내심을 갖고 읽어나아가면 반전이 기다리고 있으니 보상은 받을 수 있다.

이 소설은 추리소설이 아니라 누아르로 읽어야 한다. 밤 하늘 배경으로 흐르는 재즈 음악처럼, 문장은 우울하고 우아하고 우수에 젖어 있다.

나는 문장 읽으려고 읽었다. 이야기는 이미 알고 있었다. 문장, 예술이다. 잘 쓴다. 유치하고 닭살 돋는 로맨스 문장이 종종 나온다. 왜 이렇게 마음에 드는지 모르겠다. 나이를 거꾸로 먹는 모양이다.

그래도 소설이고 이야기니까 어떻게 썼나 살폈다. 끝까지 독자가 범인을 알 수 없도록 했다. 사형집행 직전까지 긴장감을 유지했다. 끝에서야 함정 파서 범인 잡는 식이 울리치 소설에 자주 나오네.

살인 동기 설명하는 부분은 그럴 수 있겠다 싶다. 실제 살인 사건을 보면 대개 자신이 완전히 무시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아주 작은 어떤 것이 살의를 품게 하는, 결정적으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소설에서는 웃음이었다.

끝에서 살인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 주는데, 너무 복잡하다. 확실히 소설이다. 완벽 분장 연기의 신 트릭은 소설이니까 허용된다. 참, 환상의 여인 이름은 끝까지 안 알려준다. 그리고 그 여인은 불쌍한 여자였다.

처음 읽었을 때 어찌나 신기했던지. 허기야 모든 추리소설이 처음에 읽을 때는 신비롭고 궁금하고 재미있다.

윌리엄 아이리시 '환상의 여인 Phantom Lady' (1942년)은 시간 제한 서스펜스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이미 이전에 그런 작품이 다른 작가가 쓴 것이 있었다. 사형 집행까지 남은 시각을 장마다 보여주는 식은 이 작품 이전에 조너선 래티머 '처형 6일 전 Headed For A Hearse' (1935년)에 나왔었다.

윌리엄 아이리시는 코넬 울리치의 필명이다. 워낙 많은 소설을 써내야 하다보니, 한 사람 이름으로 출판하기 적당치 않아서 만들었다. 윌리엄 아이리시는 영화사 무명 각본 작가의 이름이었다고.

엘릭시르 번역본에는 듀나의 해설이 맨 끝에 있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이 거기 다 있더라. 일독을 권한다.

엘릭시르 미스터리 책장 추리소설 전집 1번이다. 엄밀히 말해, 번호는 안 매겨져 있으나 출간 목록 나열에서 맨 위에 있다. 전집 대표작으로 내세웠다.

◆ 3회독 2025.8.3 ~ 5


스콧의 친구 이름이 번역본마다 다르다. 동서문화사 번역본은 잭 론버드고 엘릭시르 번역본은 존 론바드다.

작가의 본래 집필 스타일과 다르게 이 작품만 유독 트릭이 엄청 복잡한데, 다른 작품은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 1930년대 말 1940년대 초반 당시 미스터리가 트릭 중심이었단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대표작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는 1939년 11월에 나왔다. 'Y의 비극'(1932년)과 함께, 세계 3대 추리소설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서 추리소설 입문자들이 여름방학 숙제처럼 읽고 있다. 

2025.8.7

Posted by lovegoo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