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데이션과 지구
Foundation and Eearth 1986년

아이작 아시모프 
황금가지 2013년

파운데이션 시리즈는 총 7권인데
이 5권이 시간순으로 마지막 이야기다.

지난 4권 '파운데이션의 끝'에서
집단정신 가이아를 선택한 트레비스.

트레비스나 이 이야기를 읽는 나나 찜찜하다. 
집단정신 초공동체라니, 개인의 자유가 없잖아.

5권은 찜찜함을 해결하고자 지구를 찾는다.
지구에 대한 기록은 그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다.

일단, 지난 4권에서 언급된 '콤포렐론'에 간다.
중력 우주선을 빼앗으려는 리잘로 장관을 만난다.

장관과 거시기로 문제를 해결하는 트레비스.
지구 찾아 떠나서 금지된 행성에 도착한다.

로봇화된 행성 지하에 사는, 양성체인 솔라리아인.
로봇으로 거의 다 자동화하고 인간 접촉은 최소화.

중후반부는 속독했다.
이런저런 고생 조금 하고서 드디어 지구 발견.

읽기에 지루했다. 사건보다 설명이 많았다.
그렇다고 사건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추리소설식 전개랄까. 맨 끝에 짜잔하는 반전과
복선 회수를 겸하고 있다.

달에 접근. 2만 살 로봇 다닐 올리바를 만난다.
인류를 위해 헌신했던 다닐은 죽어가고 있다.

자신의 두뇌 기억을 심기 위한 개체를 불러오는,
다닐의 계획에 다들 놀아난 꼴이다.

트레비스는 우리 은하계에 지성 유기체는 인간이라고
결론 내리면서도 다닐의 기억을 물려 받게 될
양성체 변환 대뇌 능력자 팰롬을 애써 외면한다.

그렇게 끝났다. 팰롬의 이야기를 이어가야 하지만
작가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 7권을 쓴 후 사망한다.

파운데이션 시리즈는 미완성이다. 이야기 전개상
5권에서 멈추고 말았다. 6, 7권은 파운데이션의 시작이다.

작가가 더 살았다면 8권은 5권 이야기의 끝을 이어받아서
팰롬의 이야기가 전개되었을 것이다.


2024.10.11

Posted by lovegood
,

파운데이션의 끝 
Foundation's Edge 1982년

아이작 아시모프 
황금가지 2013년

이 책 예전에 읽었던 것이 기억났다.
하지만 기록을 남기지 않았으니 완독은 못한 듯.

서문에 지난 3권까지의 이야기를 잘 요약했다.
큰 그림만 그렸기에 각 권 읽는 재미는 남겼다.

제2파운데이션은 정신력에 치중한다.
지구 찾으려는 제1 파운데이션.

트래비스는 트랜터가 옛 지구일 거라 추측한다.
페롤랫 교수는 지구를 가이아로 불렀다고 한다.

제1파운데이션 트래비스 이야기와
제2파운데이션 젠디발 이야기를 교차해 서술한다.

추리소설 같은 진행과 결말이다.
맨 끝에서 질질 끄는데 아주 환장하게 된다.

결국 가이아라 불리는 집단정신행성에 조종당함.
제1, 2파운데이션과 가이아(뮬의 고향) 대치 상황.

그 유명한 로봇3원칙이 나온다. 이 원칙을 따른
가이아는 무력한 상태에 빠졌다. 이제 결단의 시간.

무력을 지배, 정신력으로 지배, 집단정신 속 평화.
트래비스는 과연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가?

가이아를 택한 후, 숨겨진 진실이 드러나는데...
로봇이냐 아니냐보다는 감정에 충실하자는 식이다.

어차피 선택은 각자의 몫이니. 작가도 이 선택을
강요하거나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저 제시했다.

의문 하나가 해결되지 않았다.
왜 트랜터 도서관에 지구 관련 문헌을 삭제했는가?

가이아는 그에 대한 책임도 목적도 모른다는데.
트래비스는 지구를 찾아 떠나기로 한다.

2024.10.10

Posted by lovegood
,

파운데이션 
Foundation 1951년

아이작 아시모프
황금가지 2013년

아시모프의 소설은 재미있는 듯하면서도
이상하게 지루해서 완독하기 힘들다.

읽다가 중간에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신기하면서도 어처구니가 없었다.

파운데이션은 그나마 드라마로 이미 봐서 
읽어낼 수 있었다. 

소설 이야기는 드라마와 많이 달랐다.
큰 틀거리와 주요 인물은 유사했다.

1권은 파운데이션의 설립과 
세 차례의 위기 극복 이야기다.

파운데이션은 은하제국의 멸망을 예견한
심리역사학자 셀던이 우주의 끝에 세웠다.

겉으로 은하백과사전 편찬을 내세웠지만
다 그의 계산과 예언에 따라 그곳에 마련된 것.

광물이라고 하나도 없는 터미너스에
유일한 경쟁력은 원자력 기술이다.

자, 파운데이션은 계속 다가오는 
'셀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군사력에서 절대적으로 약자인데
주변 강대국과 싸우지 않고 생존하려면?

위기 극복의 영웅들은 무력을 대신
다른 것을 이용한다. 과학 종교, 무역 경제.

주인공 한 명이 있는 게 아니라
각 시대별 주인공들이 나열되는 식이다.
해리 셀던, 샐버 하딘, 호버 말로.

역시나 원작 그대로 영상으로 만들기는
불가능했다. 보여줄 장면이 너무 부족하다.

2024.10.4

Posted by lovegood
,

파운데이션과 제국 
Foundation and Empire 1952년

아이작 아시모프
황금가지 2013년

1권 파운데이션을 도서관에서 대출한 사람이 반납을 영 안 해서, 2권 파운데이션과 제국부터 읽었다. 매권 시작부분에 지난 이야기를 요약해주기 때문에 큰 줄거리를 이해하는 데 큰 무리는 없었다.

해리 셸던의 심리역사학적 필연성. 운명론, 결정론. 이미 다 정해져 있고 개인이 아무리 뭘 어떻게 해도 소용이 없다. 이에 반발하며 행동하는 장군, 그리고 뮬이라는 이름의 돌연변이. “한번 도전해 보겠습니다. 살아 있는 인간의 의지로 죽은 자의 예측에 맞서 싸울 겁니다.” 46쪽.

제1부 장군 이야기는 허무했지만 제2부 뮬 이야기는 반전과 놀라움이 있었다. 그 반전이란 것이 추리소설 많이 읽은 이들한테는 익숙해서 뻔했지만, 가장 의심스럽지 않고 가장 가까이 있는 자가 범인이다, 로맨스로 마무리되는 여운이 진해서 살짝 감동했다.

과연 이 뮬의 정체는 뭔가? 왜 어떻게 그렇게 쉽게 빨리 정복할 수 있었지? 이런 호기심에 계속 읽어나가게 한다. 그리고 뮬의 돌연변이적 초능력이 밝혀지면서 파운데이션이 하나 더 있다는 것도 알려진다. 제2파운데이션. 다음 권이다.

Posted by lovegood
,